티스토리 뷰
24절기 전체
24절기란?
8월 23일 처서가 지나고 나니 더위가 한풀 꺾이고 이제 아침저녁으로는 선선한 날씨가 되었습니다. 옛사람들은 어떻게 이런 절기를 알았을지 궁금합니다. 24절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4절기
태양의 황도상 위치에 따라 계절적 구분을 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황도에서 춘분점을 기점으로 15° 간격으로 점을 찍어 총 24개의 절기로 나타냅니다.
중국력법은 달의 위상 변화를 기준으로 하여 역일(曆日)을 정해 나간 것에, 태양의 위치에 따른 계절 변화를 참작하여 윤달을 둔 태음태양력이었습니다. 그러나 이 역법으로는 계절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아 특별한 약속하에 등 24기의 입기일(入氣日)을 정합니다.
그 정하는 방법에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평기법(平氣法)이고, 다른 하나는 정기법(定氣法)입니다. 예전에는 평기 법을 써왔습니다. 이것은 1년의 시간적 길이를 24 등분하여상의 해당점에 각 기를 매기는 방법인데, 동지(冬至)를 기점으로 하여 순차로 중기·절기·중기·절기 등으로 매겨나가는 방법입니다.
정기법에서는 황도상에서 동지를 기점으로 동으로 15° 간격으로 점을 매기고, 태양이 이 점을 순차로 한 점씩 지남에 따라서 절기·중기·절기·중기 등으로 매겨나갑니다. 이 경우 각 구역을 지나는 태양의 시간 간격은 다르게 되며, 2016년 유네스코 인류 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등재되었습니다.
24절기 < 봄>
*입춘 -24절기 첫 번째 절기 입춘은 새해의 첫째 절기이며 음력 정월의 절기로서 봄의 시작입니다.
"입춘대길 건양다경" 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하고 경사스러운 일이 많이 생기기를 기원한다는 의미입니다.
관련 속담 : 입춘 거꾸로 붙였나. 입춘에 장독 오줌독 깨진다.
*우수 - 24절기 두 번째 절기 입춘 입기일 15일 후인 양력 2월 19일 도는 20일이 되며 우수 경칩에 대동강 풀린다는 속담이 있습니다. 꽃샘추위가 기승을 부리지만 추운 날씨가 누그러지고 봄기운이 돋아 초목에 싹이 틉니다.
관련 속담 : 우수 경칩에 대동강 풀린다. 우수 뒤의 얼음같이
*경칩 - 24절기 세 번째 절기 경칩은 만물이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시기인 이즈음이 되면 겨울철의 고기압이 약화되고 기온은 상승하며 봄으로 향하게 됩니다. 경칩이 되면 삼라만상이 겨울잠을 깬다고 합니다.
관련 속담 : 경칩 지난 게로군. 경칩이 되면 삼라만상이 겨울잠을 깬다.
*춘분 - 24절기의 네 번째 절기 춘분은 경칩과 청명의 중간에 드는 절기로 양력 3월 21일 전후, 음력 2월 무렵에 듭니다. 춘분 때가 되면 태양이 춘분점에 이르러 적도의 위를 직사 하여 밤과 낮의 길이가 거의 같지만 빛의 굴절 현상 때문에 낮의 길이가 약간 더 깁니다.
관련 속담: '꽃샘에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
*청명 - 24절기의 다섯 번째 절기 청명이란 하늘이 차츰 맑아진다는 뜻을 지닌 말이며, 청명 무렵에 논밭의 흙을 고르는 가래질을 시작하는 농사를 준비하는 시기로 청명이 되면 비로소 봄 밭갈이를 한다고 합니다.
관련 속담 : 정명에는 부지깽이를 꽂아도 싹이 난다.
*곡우 - 24절기의 여섯 번째 절기 곡우의 의미는 봄비가 내려 백곡을 기름지게 한다는 뜻입니다.
관련 속담 : 곡우에 모든 곡물들이 잠을 깬다. 곡우가 넘어야 조기가 운다. 곡우에 비가 오면 풍년 든다.
24절기 <여름>
* 입하 - 24절기의 일곱 번째 절기 입하 때가 되면 산과 들에는 신록이 일기 시작하며 개구리 우는 소리가 들리며, 묘판에는 볍씨가 싹이 터 모가 한창 자라는 시기입니다.
관련 속담 : 입하 바람에 씨나락 몰린다. 입하물에 써레 싣고 나온다.
* 소만 - 24절기의 여덟 번째 절기 소만은 입하와 망종 사이에 들어 햇볕이 풍부하고 만물이 전차 생장하여 가득 찬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이때는 씀바귀 잎을 뜯어 나물을 해 먹고, 냉이나물은 없어지고 보리 이삭은 익어서 누런색을 띠니 여름의 문턱이 시작되는 계절입니다.
관련 속담 : 소만 추위에 소 대가리 터진다. 소만 바람에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
*망종 - 24절기 중 아홉 번째 절기이며 망종이란 벼 같이 수염이 있는 곡식의 종자를 뿌려야 할 적당한 시기라는 뜻입니다. 이 시기는 모내기와 보리베기에 알맞은 때이며, 망종 무렵은 보리를 베고 논에 모를 심는 때입니다.
관련 속담 : 망종 넘은 보리. 보리는 망종 전에 베라. 햇보리를 먹게 될 수 있다는 망종
* 하지 - 24절기의 열 번째 절기 하지 때는 정오의 태양 높이가 가장 높고, 일사 시간과 일사량이 가장 많은 날입니다. 일 년 중 태양이 가장 높이 뜨고 낮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북반구의 지표면은 태양으로부터 가장 많은 열을 받습니다. 그리고 이 열이 쌓여서 하지 이후로는 기온이 상승하여 몹시 더워집니다.
관련 속담: 하지가 지나면 발을 콜꼬에 담그고 산다.
* 소서 - 24절기의 열한 번째 절기 소서 이 시기는 여름 장마철로 장마전선이 한반도 중부지방을 가로질러 장기간 머무르기 때문에 습도가 높고 비가 많이 내립니다. 예전에는 이때쯤이면 하지 무렵에 모내기를 끝낸 모들이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관련속담 : 소서가 넘으면 새 각시도 모심는다.
* 대서 - 24절기의 열두 번째 절기 대서 이 시기는 대개 중복 때로, 장마가 끝나고 더위가 가장 심하며, 예부터 대서에는 더위 때문에 “염소뿔도 녹는다.”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입니다.
관련 속담 : 염소뿔도 녹는다.
24절기 <가을>
* 입추 - 24절기의 열세 번째 절기 입추는 여름이 지나고 가을에 접어들었음을 알리는 절기입니다. 이날부터 입동 전까지를 가을이라고 합니다.
관련 속담 : 입추 때는 벼 자라는 소리에 개가 짖는다.
* 처서 - 24절기의 열네 번째 처서, 여름이 지나면 더위도 가시고 신선한 가을을 맞이하게 된다는 의미로 더위가 그친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음력 7월을 가리키는 중기이기도 합니다.
관련 속담 : 모기도 처서가 지나면 입이 삐뚤어진다. 처서가 지나면 풀도 울며 돌아간다.
* 백로 - 24절기의 열다섯 번째 백로는 흰 이슬이라는 뜻으로 이때쯤이면 밤에 기온이 이슬점 이하로 내려가 풀잎이나 물체에 이슬이 맺히는 데서 유래합니다.
관련 속담 : 칠월 백로에 패지 않은 벼는 못 먹어도 팔월 백로에 패지 않은 벼는 먹는다.
*추분 - 24절기의 열여섯 번째 추분에는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므로 이날을 계절의 분기점으로 의식합니다. 곧 추분이 지나면 점차 밤이 길어지기 때문에 여름이 가고 가을이 왔음을 실감하게 됩니다.
관련 속담 : 추분이 지나면 우렛소리 멈추고 벌레가 숨는다. 덥고 추운 것도 추분과 춘분까지이다.
*한로 - 24절기의 열일곱 번째 절기 한로는 공기가 차츰 선선해짐에 따라 이슬(한로)이 찬 공기를 만나 서리로 변하기 직전의 시기입니다. 한로 즈음은 찬이슬이 맺힐 시기여서 기온이 더 내려가기 전에 추수를 끝내야 하므로 농촌은 오곡백과를 수확하기 위해 타작이 한창인 때입니다.
관련 속담 : 한로가 지나면 제비도 강남으로 간다. 가을 곡식은 찬이슬에 영근다.
*상강 - 24절기의 열여덟 번째 절기 상강 시기는 가을의 쾌청한 날씨가 계속되는 대신에 밤의 기온이 매우 낮아지는 때입니다. 따라서 수증기가 지표에서 엉겨 서리가 내리며, 온도가 더 낮아지면 첫얼음이 얼기도 합니다.
24절기 <겨울>
* 입동 - 24절기 중 열아홉 번째 절기 이날부터 겨울이 시작된다고 하여 입동(立冬)이라고 합니다.
관련 속담 : 9월 입동 오나락이 좋고 10월 입동 늦나락이 좋다, 입동이 지나면 김장도 해야 한다, 입동 전 보리씨에 흙먼지만 날려주소
* 소설 - 24절기 중 스무 번째 절기. 이날 첫눈이 내린다고 하여 소설(小雪)이라고 합니다. 눈이 내릴 정도로 추위가 시작되기 때문에 겨울 채비를 합니다.
관련속담 : 소설 추위는 빚을 내서라도 한다.
*대설 - 24절기 중 스물한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 소설(小雪)과 동지(冬至) 사이에 위치하며, 소설에 이어 오는 대설(大雪)은 눈이 가장 많이 내린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관련속담 : 눈은 보리의 이불이다.
*동지 -24절기 중 스물두 번째 절기로 양력으로 동지가 음력 동짓달 초순에 들면 애동지, 중순에 들면 중 동지(中冬至), 그믐 무렵에 들면 노동지(老冬至)라고 합니다. 동지팥죽을 먹습니다.
관련 속담 : 동지가 지나면 푸성귀도 새 마음 든다. 동지 때 개딸기, 동지 지나 열흘이면 해가 노루꼬리만큼씩 길어진다. 배꼽은 작아도 동지팥죽은 잘 먹는다. 범이 불알을 동지에 얼구고 입춘에 녹인다. 새알 수제비 든 동지팥죽이다. 동지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 동지섣달 해는 노루꼬리만 하다.
* 소한 - 24절기 중 스물세 번째로 소한 무렵은 정초한파(正初寒波)라 불리는 강추위가 몰려오는 시기입니다.
관련 속담 : 대한이 소한의 집에 가서 얼어 죽는다. 소한에 얼어 죽은 사람은 있어도 대한에 얼어 죽은 사람은 없다. 소한 추위는 꾸어다가라도 한다.
*대한 - 24절기 중 마지막 스물네 번째 절기로 ‘큰 추위’라는 뜻의 절기입니다. 원래 겨울철 추위는 입동(立冬)에서 소설(小雪), 대설(大雪), 동지(冬至), 소한(小寒)으로 갈수록 추워지며, 대한이 지나면 큰 추위는 다 지나갑니다.
관련 속담 : 대한 끝에 양춘이 있다. 소한의 얼음이 대한에 녹는다.
'박학다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시설 관리사 (0) | 2022.08.29 |
---|---|
유흥식 추기경, 한국 네번째 추기경 (0) | 2022.08.29 |
돌고래 수명, 돌고래 아이큐 (0) | 2022.08.27 |
부엉이와 올빼미 차이점 (0) | 2022.08.26 |
뇌전증, 뇌전증 전조증상 (0) | 2022.08.25 |
- Total
- Today
- Yesterday
- 염기서열
- 겨울철 노로바이러스
- 2023년 계묘년
- 화물연대 파업
- 블랙홀
- 로타바이러스
- 청년도약계좌
- 에너지바우처신청
- 안전운임제
- 2022 카타르 월드컵
- 일반 상대성이론
-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 2022년 운세
- 코로나19
- 노로바이러스
- 상대성 이론
- 송해 선생님
- 우리시대 소설
- DNA
- 멘델
- 제뮬
- 카타르 월드컵 일정
- 카타르 월드컵
- 콜레스테롤 높은음식
- 넷플릭스 수리남
- 에너지바우처
- 아인슈타인
- 광전효과
- 선천면역
- 사건의 지평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