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제로음료 속 단맛의 정체
오늘은 제로음료의 정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감미료란 무엇일가요?
제로 음료, 제로 아이스크림, 제로 과자까지 어느 순간, 설탕 대신 '감미료'가 들어간 제로 식품들이 대세로
떠올랐습니다.
감미료는 단맛을 주는 식품첨가물로,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스, 사카린나트륨, 말티톨 등 22종의 감미료가 허용되어 있습니다.
■ 감미료가 왜 필요할까요?
설탕을 과하게 섭취하면 건강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
설탕 섭취를 줄이기 위해 감미료를 대신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감미료별 설탕 대비 감미도>
· 사카린나트륨: 약 300배.
· 수크랄로스: 약 600배.
· 아세설팜칼륨: 약 200배.
· 아스파탐: 약 200배.
감미료는 종류에 따라 설탕 대비 수백 배의 감미도를 지니고 있어, 아주 작은 양을 사용하여도 단맛을 나게 할 수
있습니다.
■ 감미료가 들어간 식품은 어떻게 확인하나요?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에 따라 식품첨가물의 종류와 용도를 표시하고 있으며, 식품을 구매할 때, 제품 포장의 표시사항에서 사용된 감미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식품유형: 탄산음료
- 원재료명: 정제수, 이산화탄소, 아스파탐(감미료, 페닐알라닌 함유) 아세설팜칼륨(감미료)…
■ 감미료, 얼마나 섭취하고 있나요?
우리나라 국민의 감미료 섭취량은 매우 안전한 수준입니다.
<1일섭취허용량(ADI) 대비 섭취 수준>
사카린나트륨 1.41%, 수크랄로스 0.18%, 아세설팜칼륨 0.30%, 아스파탐 0.12%, 스테비올배당체·효소처리스테비아 0.29%.
* 출처: 식품첨가물의 기준·규격 재평가, '19년.
※ 1일섭취허용량(ADI, Acceptable Daily Intake, mg/kg bw/day.)
사람이 일생동안 매일 먹더라도 유해한 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체중 1kg당 1일 섭취량(mg).
■ 어린이가 섭취하는 감미료도 안전한가요?
어린이들(1~18세)이 선호하는 식품을 대상으로 감미료 섭취 수준을 조사한 결과, ADI 대비 최대 4%로 안전한 수준
입니다.
■ 감미료 섭취 시 주의사항이 있나요?
· 2023년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비설탕 감미료를 체중 조절 등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지 말 것을 권고한 바
있습니다.
· 아스파탐 섭취 시, 페닐케톤뇨증* 환자는 섭취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 페닐알라닌 분해효소 결핍으로 페닐알라닌이 축적되는 유전 대사 질환.
· 말티톨 등 당알코올의 경우에는 과다 섭취 시에 복통, 설사 발생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송해 선생님
- 로타바이러스
- DNA
- 넷플릭스 수리남
-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 코로나19
- 상대성 이론
- 청년도약계좌
- 일반 상대성이론
- 선천면역
- 카타르 월드컵 일정
- 아인슈타인
- 제뮬
- 사건의 지평선
- 광전효과
- 2022년 운세
- 겨울철 노로바이러스
- 블랙홀
- 우리시대 소설
- 안전운임제
- 멘델
- 염기서열
- 콜레스테롤 높은음식
- 화물연대 파업
- 에너지바우처
- 2023년 계묘년
- 카타르 월드컵
- 에너지바우처신청
- 노로바이러스
- 2022 카타르 월드컵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